맞춤법, 부호

줄임표(…….) 사용법

arttravel 2025. 3. 4. 19:18
반응형

출처: 문화

다른 글을 읽을 때, 혹은 글을 쓸 때 맞춤법이나 부호의 사용에 대한 강박이 오곤 한다. 특히 작품을 쓸 때는 더 그렇다.

흔하게 쓰이는 부호 중에 누구는 점 세 개를 찍고, 누구는 여섯 개를 찍고, 누구는 아래에 찍고, 누구는 가운데에 찍는 녀석이 있다. 쉬어가는 마음으로 말줄임표라고도 부르는 이 '줄임표'라는 녀석에 대해 써보고자 한다.

 

 

결론적으로는 점 세 개도, 점 여섯 개도 맞다. 아래에 찍어도, 가운데 찍어도 맞다.

쓰임의 4가지 경우와 염두해야할 3가지 경우로 나눴다.

 

 

 


 

2.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.

예) "빨리 말해!"

      "……."

 

이때는 줄임표만으로 문장의 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줄임표 뒤에는 마침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.

 


 

 


 

 


 

[붙임 1]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 아래쪽에 찍을 수도 있다.

예) "실은...... 저 사람...... 우리 아저씨일지 몰라."

 

줄임표는 가운데에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아래에 여섯 점을 찍는 것도 허용된다. 컴퓨터 등에서의 입력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부호 사용의 편의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.

 

점을 아래에 찍는 경우에도 설명한 마침표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. 마침표를 포함하면 아래에 일곱 점을 찍는 셈이다.

예) 그는 최선을 다했다. 그러나 성공할지는.......

     저기...... 있잖아...... 나...... 너한테 할 말이 있어.


 

줄임표는 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세 점을 찍는 것도 혀용된다. 가운데에 세 점을 찍거나 아래에 세 점을 찍어서 나타낼 수 있다.

 


[붙임 3] 줄임표는 앞말에 붙여 쓴다. 다만, 3에서는 줄임표의 앞뒤를 띄어 쓴다.

 

*줄임표의 띄어쓰기: 줄임표는 앞말에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다. 다만, '3(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)'과 같은 용법으로 쓸 때는 앞뒤를 띄어 쓴다.

 


출처: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문장부호해설

 

 


 

따옴표-큰따옴표(" "), 작은따옴표(' ') 언제 쓸까?

글을 쓰다 보면 언제 큰따옴표를 써야 하고 작은따옴표를 써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있다. 특히 대화문을 쓸 때나 책 제목같이 단어를 나열할 때 이게 맞나?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. 국어에는

arttravel.tistory.com

 

쌍점(:) 쓰는 법

1. 표제 다음에 해당 항목을 들거나 설명을 붙일 때 쓴다.예) 장소: 광화문 광장 일대      문장 부호: 마침표, 물음표, 느낌표, 쉼표 등      협동: 마음과 힘을 하나로 합하는 

arttravel.tistory.com

 

 

반응형

'맞춤법, 부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소괄호(( )) 사용법  (2) 2025.04.26
빗금(/) 사용법  (4) 2025.03.21
쌍점(:) 사용법  (0) 2025.03.16
가운뎃점(ㆍ) 사용법  (0) 2025.03.16
따옴표-큰따옴표(" "), 작은따옴표(' ') 언제 쓸까?  (0) 2025.03.11